2차 소비쿠폰 건강보험료 기준: 1인가구 맞벌이 가구: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건보료

2차 소비쿠폰은 가구원 수와 건강보험료 기준에 따라 지원 여부가 달라집니다. 특히 1인 가구, 맞벌이 가구 등 직장가입자·지역가입자 유형별 기준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2차 소비쿠폰 건강보험료 기준 외벌이와 다소득 가구별 건강보험료 소득기준을 표와 함께 자세히 안내합니다.



    2차 소비쿠폰 건강보험료 기준

     

    2차 소비쿠폰 건강보험료 기준

    정부가 추진하는 2차 소비쿠폰은 가구 소득 수준에 따라 지급 대상이 달라지는데, 이를 판단하는 주요 기준이 바로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입니다. 특히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는 적용 방식이 조금씩 달라 헷갈리기 쉬운데요, 이번 글에서는 외벌이·맞벌이 가구별 건강보험료 기준을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2차 소비쿠폰 소득기준과 건보료




    2차 소비쿠폰 대상 여부는 단순한 연소득 기준이 아니라 가구의 건강보험료 납부액(본인부담금)으로 확인합니다.

    •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회사에 소속되어 급여에서 건강보험료가 자동 공제되는 경우
    • 지역가입자: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 소득 신고를 기반으로 보험료를 납부하는 경우
    • 혼합 가구: 맞벌이 또는 한쪽은 직장, 다른 쪽은 지역 가입자인 경우

    이처럼 가입 유형에 따라 기준 금액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 상황에 맞춰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벌이(단독 소득) 가구 건강보험료 기준




    외벌이 가구란 한쪽 배우자만 소득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아래 표는 가구원 수별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기준입니다.



    가구원 수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직장+지역)

    1

    220,000

    220,000

    -

    2

    330,000

    310,000

    330,000

    3

    420,000

    390,000

    420,000

    4

    510,000

    500,000

    520,000

    5

    600,000

    590,000

    620,000

    6

    690,000

    670,000

    730,000

    7

    780,000

    740,000

    850,000

    8

    850,000

    800,000

    960,000

    9

    930,000

    860,000

    1,050,000

    10인 이상

    1,050,000

    960,000

    1,230,000



    👉 예시:
    1인 가구 직장가입자의 경우 월 건강보험료가 22만 원 이하라면 2차 소비쿠폰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4인 가구 지역가입자는 월 50만 원 이하여야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맞벌이(다소득) 가구 건강보험료 기준




    맞벌이 또는 다소득 가구의 경우, 부부가 각각 납부하는 건강보험료를 합산해서 기준을 적용합니다.


    가구원 수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직장+지역)

    2

    420,000

    390,000

    420,000

    3

    510,000

    500,000

    520,000

    4

    600,000

    590,000

    620,000

    5

    690,000

    670,000

    730,000

    6

    780,000

    740,000

    850,000

    7

    850,000

    800,000

    960,000

    8

    930,000

    860,000

    1,050,000

    9인 이상

    1,050,000

    960,000

    1,230,000



    👉 예시:
    맞벌이 2인 가구 직장가입자: 부부가 납부하는 건강보험료를 합산하여 42만 원 이하라면 대상.
    맞벌이 5인 혼합가구: 합산 건강보험료가 73만 원 이하일 경우 혜택 가능.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의 소득기준 차이




    1인 가구는 개인의 보험료만 적용되므로 단순하지만, 기준 금액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맞벌이 가구는 부부의 보험료를 합산하기 때문에 금액 기준은 더 높게 책정됩니다.
    따라서 실제 소득은 높아도 보험료 합산 금액이 기준 이하라면 소비쿠폰 수급이 가능합니다.
    즉, 단독 소득 가구보다 맞벌이 가구가 기준을 충족하기 쉬운 구조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1. 1인 가구 직장가입자인데 월 보험료가 23만 원입니다. 대상이 되나요?

    A1. 기준은 22만 원 이하이므로 아쉽게도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Q2. 맞벌이 2인 가구입니다. 남편 20만 원, 아내 18만 원 납부 중인데 합산 시 38만 원입니다. 대상일까요?

    A2. 네, 맞벌이 2인 직장가입자 기준인 42만 원 이하이므로 대상에 포함됩니다.

    Q3. 지역가입자는 소득 외에도 재산이 포함되나요?

    A3. 맞습니다.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재산·자동차 보유 여부 등도 반영됩니다.

    Q4.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가 결혼한 경우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A4. 혼합 가구에 해당하며, 각각 납부하는 보험료를 합산해 혼합 기준표를 적용합니다.

    Q5. 가구원 수 산정 시 대학생 자녀도 포함되나요?

    A5. 네, 주민등록등본상 함께 거주하는 자녀는 가구원에 포함됩니다.


    👉 정리하자면, 2차 소비쿠폰의 핵심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입니다.
    가구 형태(1인, 외벌이, 맞벌이)에 따라 기준 금액이 다르니 반드시 본인 상황에 맞춰 확인하시길 권장드립니다.


    @

    댓글 쓰기

    0 댓글